땅을 볼땐 여러차례 보아야한다 (지적불부합지)

지적 불부합지가 있다.

산에 붙어있거나
천, 구거에 붙어있는 땅이경우

지적불부합지는 생긴다.

동네전체가 그런경우도 많다.

지적불부합지.

1.지적도에의해 건물을 기획하지만 현황과 차이가 있을수있다.

2.이때 현황을 조사하면서 건물위치를 놓아보고

3.바람, 빛, 전경의 방향을 재확인한다.

4.잉여지발생은 꽁짜다.
지적불부합지의경우 경계가 왔다갔다하지만 잉여지가 있을수있고 내땅이 천에들어가 줄어든경우도 있다.

5.때문에 땅이 넓은경우 최종적으론 건설회사(또는 시공자)에게 미리 야리가다(규준틀)을 설치해보게한다.

6.잉여지가있다면 법적 경계범위까지 건물을 이동시켜서 그영역에서 가장효율을 갖도록 조정을 한다.(경계에서 천까지 20평의 잉여지가 있다면, 꽁짜땅인것이다.ㅋ)

어촌, 농촌 들중 땅이작은경우
특히 취락지구의 경우엔 윗글의 반대가된다.

건물이 꽉~차서들어가는 관계로
지적이 정확히 나오면 이격거리 확인후 이격거리가 문제생기면 건물의 치수를 줄여야한다(10~20cm)

청주는 전자의 형태다.
땅의 최대 사용이 목적이다.

거제는 후자다.
건물이 꽉 차있기에 지적이 정확해서 작은면적의 손실이 없길 시공도면에 명기했다.

송파는 그럴 필요없고
망원동은 조심해야하고
특히 성북동은 더욱 조심해야한다.

담으로 둘러싸인 우리집의 땅이 내땅인줄알았는데 남의 땅인경우가 있다(시효취득은 이래서 생기는것이다.) .

기획?

땅이 하나더라도
갈때마다 보고
갈일을 만들어 또보고
인터넷 로드뷰로 또보고
핸펀에 찍은 사진으로
또다시 봐야한다.

como eso

골백번봐야
땅을 알게된다.

Artículos Relacionados

소중한 기억을 만드는 집

건물은 법으로 짓는다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는 집이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