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년을 내다보며 해야할 일

인친님네 어르신을 모실
터를 보러가는길

집은 양택
묘지는 음택

가끔하는일
“터”찾기

작은 흠이 있는 명당 보다는
무해무탈한게 좋다.

작년엔
메모리얼파크에서 수십 ~ 수백개를 보고 그중 으뜸인걸 만났다.

이렇듯
살아서도 인연이 되어야 자기집, 자기건물을 갖지만
죽어서도 자기집을 만나야한다.


아쉽게도 공원묘지의 80%는 쓰레기다. .
전망좋은곳의 흙은 깨진흙, 깨진돌위에 조경흙을 깔고 눈을 속인다..

보는 눈을 길러야한다. 아무데나 모시면안된다.

말나온김에

국립묘지? 현충원은 어떨까?

국립묘지는 선착순이다.
몇해전 베트남전 참전하신 고모부께서는 돌아가시고 대전 국립현충원에 모셨다.
그뒤 43용사가 들어오셨다.

좋은 위치다. .

죽어서도 복이 있어야 좋은곳을 주어진다.


그외에 일반인이 쉽게 할수있는
공원묘지, 메모리얼파크는 어떨까?

좀 알려면 과거의 역사를 알아야한다.

A.가족묘, 선산이 없었던 사람들이 1960~1990년 초까지 강, 산에 뿌렸다.

그것이 환경오염삼 불법이되니

B.수목장을 하였다. 그러나
나무뿌리가 죽은자를 휘~휘~감고 괴롭힌다.

C.그후 가족묘(4기, 12기, 24기, 36기)가 생기고 가격을 메기고 분양을 한다. .
그런 공원묘지의 가족묘는
아파트값처럼 분묘값이
8년새 2배 뛰었다.

내년되면 묘지값은 더 뛰겠지.

D.그러나 C또한 한계가있다.
따라서 1970~2000년대 생은 뭍힐곳도 뿌려질곳도없다

E.때문에 작은산, 작은임야 50평을 사더라도 가족묘를 개인적으로 만드는게 좋다.
100년을 내다보며 해야할 일이 이것인것이다.
오늘 인친님과 산을 오르는 일이 그 이유이다.

相关文章

소중한 기억을 만드는 집

건물은 법으로 짓는다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는 집이어야 한다